ConnectRetrySecs 옵션은 플러그인이 WebLogic Server에 연결을하려는 시도 사이에 delay 되어야 하는 간격입니다.
플러그인이 반환되기 전에 연결을 시도하는 횟수는 ConnectTimeoutSecs / ConnectRetrySecs 으로 나눈 값이고, 연결 시도 횟수가 넘을 경우 HTTP 503 에러를 응답합니다. Default 값은 2 입니다.
ConnectTimeoutSecs 옵션은 플러그인이 WebLogic Server에 연결을 시도해야 하는 최대 시간(초) 입니다. ConnectRetrySecs 값보다 큰 값을 넣어야 합니다. Default 값은 10 입니다.
- 설정 방법
<IfModule weblogic_module> . ConnectRetrySecs 2 ConnectTimeoutSecs 10 . </IfModule> |
아래 내용들은 테스트 시나리오 입니다.
가정 1) WebLogic Server가 사중화 일 때 위와 같이 설정 되어 있다면 총 5번을 WebLogic Server와 연결 시도 하는 지 확인해보자
# mod_wl_ohs.conf
# 호출
# ohs error log
WLIOTimeoutSecs 값보다 초과하는 delay 값을 준 후 테스트를 해보면 WebLogic에 총 5번 Connect 할 것으로 추측하였지만 총 6번 Connect 맺는 걸 확인 할 수 있다. 하지만 시간을 보면 ConnectRetrySecs 값을 따르지 않고 10초 간격으로 재 시도 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걸로 삽질을 많이 했지만 결론적으로 말하면 WebLogic Server가 RUNNING 중에는 WLIOTimeoutSecs 설정 값에 따라 재 시도를 한다.
아래 테스트 내용은 WebLogic Server를 shutdown 했을 때 내용입니다.
# ohs error log
ConnectRetrySecs 2 설정 처럼 2초 간격으로 WebLogic Server로 재접속 시도를 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.
가정 2) ConnectRetrySecs 값이 ConnectTimeoutSecs 보다 클 경우 어떤식으로 호출되는지 확인해 보자
# mod_wl_ohs.conf
# ohs error log
WLIOTimeoutSecs 값에 따라 WebLogic Server 연결 재접속 시도를 하지만 3번 밖에 하지 않는다.
(WebLogic Server는 RUNNING 상태)
(오라클 문서에는 RetrySecs > TimeoutSecs 클 경우 2회 접속 한다고 적어져 있다.)
WebLogic Server Shutdown 한 상태에서는 어떡해 될까
# ohs error log
ConnectRetrySecs 설정 값에 따라 재시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.
'Oracle Fusion Middleware > Oracle HTTP Serv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orapki를 이용한 sso 인증서 확인 (p12추가) (0) | 2022.06.02 |
---|---|
OHS Plugin Tutorials - WLIOTimeoutSecs, Idempotent (0) | 2022.05.25 |
OHS Plugin Tutorials - DynamicServerList (0) | 2022.05.25 |
OHS Plugin Tutorials - MatchExpression (0) | 2022.05.25 |
OHS Plugin Tutorials - WebLogicCluster (0) | 2022.05.25 |